소송실무:형사: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start
start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소송실무:형사: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start [2024/06/06 15:07] – 마약 이거니맨 | 소송실무:형사: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start [2024/06/09 21:03] (현재) – 이거니맨 | ||
---|---|---|---|
줄 3: | 줄 3: | ||
==== 1. 정의 ==== | ==== 1. 정의 ==== | ||
- | 마약류란 ① 마약, ② 향정신성의약품, | + | 마약류(痲藥, Narcotics)란 일반적으로 느낌, 생각 또는 행태에 변화를 줄 목적으로 섭취하여 정신에 영향을 주는 물질(psychoactive substance)을 말하며, 협의로는 오․남용의 방지를 |
+ | 법률적으로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정의된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및 대마를 총칭한다((관세청, | ||
+ | |||
+ | 마약류는 대뇌 중 마약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 ||
+ | |||
+ | 법률적으로 마약류란 [[https:// | ||
<WRAP center box law 95%> | <WRAP center box law 95%> | ||
줄 12: | 줄 17: | ||
</ | </ | ||
- | ==== 2. 분류 ==== | + | {{: |
- | 마약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 | + | ==== 2. 작용 ==== |
+ | |||
+ | 마약류는 뇌 속의 신경 전달물질로 사고력과 쾌감에 주로 관여하는 물질인 도파민을 | ||
+ | |||
+ | 마약류는 주로 진통이나 마취 목적의 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오락용 또는 행복감을 느끼기 위해 오・남용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을 유발하게 | ||
+ | ==== 3. 분류 ==== | ||
+ | |||
+ | 마약류는 | ||
+ | |||
+ | 마약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 | ||
{{: | {{: | ||
+ | |||
+ | ===== 마약류 통제를 위한 국제적 노력 ===== | ||
+ | |||
+ | 본 항은 관세청 설명자료의 내용을 그대로 퍼 온 것이다((관세청, | ||
+ | |||
+ | 사람들은 치료 또는 종교적 목적으로 혹은 즐거움을 위해 오랫동안 마약류를 사용해 왔으며, 19세기 말에는 화학과 약학의 발전에 힘입어 코카인과 헤로인 같은 | ||
+ | |||
+ | 이러한 마약류의 광범위한 남용은 1909년 상하이에서 마약위원회가 조직되면서 국제적인 마약류의 통제가 최초로 시작되었으며, | ||
+ | |||
+ | 1961년 마약에 관한 단일협정(UN Single Convention on Narcotic Drugs)을 시작으로 | ||
+ | |||
+ | 한편,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 ||
+ | |||
+ | <WRAP center round tip 95%> | ||
+ | ① 의존성 : 약물 사용에 대한 욕구가 강제적일 정도로 강하며(依存性) | ||
+ | ② 금단증상 : 이를 중단할 경우, 신체적으로 고통과 부작용이 있으며(禁斷現象) | ||
+ | ③ 내성 : 약물효과에 대한 내성으로 남용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정상상태로 회복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耐性) | ||
+ | ④ 사회적 해악성 : 危害의 정도가 개인에 한정되지 않고 사회에도 해를 끼치는 것(社會的 害惡性) | ||
+ | </ | ||
+ | |||
+ | |||
+ | ===== 마약류의 부작용 ===== | ||
+ | |||
+ | ==== 1. 중독시의 부작용 ==== | ||
+ | |||
+ | 마약류(痲藥, | ||
+ | |||
+ | 마약은 또한 뇌의 구조적, 기능적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약은 동기와 정서와 관계되어 있는 뇌영역인 ‘변연계’와 조절과 통제력 발휘와 관계되어 있는 뇌영역인 ‘전두엽’, | ||
+ | |||
+ | === (1) 심리적 의존성 === | ||
+ | |||
+ | 심리적 의존성(依存性, | ||
+ | |||
+ | 마약류를 종류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WRAP center round important 90%> | ||
+ | * 흥분제 : 중추신경계 활동을 증가시킨다. 코카인, 암페타민 등 | ||
+ | * 진정제 : 중추신경계의 선별적 저하를 일으킨다. 헤로인, 모르핀 등의 아편류(Opoids) | ||
+ | * 환각제 : LSD 등 | ||
+ | </ | ||
+ | |||
+ | |||
+ | |||
+ | === (2) 금단현상 === | ||
+ | |||
+ | 금단현상(禁斷現象)은 마약중독자가 남용하던 마약을 끊으면 신체적(생리적)으로 특이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남용량에 비례하여 그 증상이 심해진다. | ||
+ | |||
+ | 일반적으로 | ||
+ | |||
+ | |||
+ | === (3) 내성 === | ||
+ | |||
+ | 내성(耐性, | ||
+ | |||
+ | === (4) 플래시백 === | ||
+ | |||
+ | 플래시백(Flashback) 현상이란 환각제를 남용하던 사람이 이를 중단한 후 수 주일, 수 개월 또는 수 년 후에 환각제를 남용했던 당시에 경험했던 환각상태가 재현되는 | ||
+ | |||
+ | === (5) 반사회성 === | ||
+ | |||
+ | 충동적 범죄행위를 유발한다. | ||
+ | |||
+ | {{: | ||
+ | |||
+ | ==== 나. 마약류 투약에 따른 부작용 ==== | ||
+ | |||
+ | * 신경조직망 손상으로 정상적인 생활 불가 | ||
+ | * 기억력 감퇴, 집중력·판단력 장애 발생 | ||
+ | * 뇌·간·심장 등 신체 각 기관 손상 가능 | ||
+ | * 환각상태에서 강도·살인 등 강력범죄 유발 | ||
+ | |||
+ | ==== 다. 마약 중독의 후유증 ==== | ||
+ | |||
+ | 마약은 신체적으로도 후유증을 남길 수 있고 무엇보다 뇌의 구조적, 기능적 손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뇌의 구조적, 기능적 손상은 결국 다양한 정신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울증, 조울증 등의 기분 장애, 환각 등을 동반한 정신증, 불안과 공황은 마약중독 환자들에서 흔히 동반되는 정신질환입니다. 만성적으로 마약을 사용한 경우에는 뇌 손상 역시 더욱 심화되어서, | ||
+ | |||
+ | 마약은 또한 도파민 관련 신경망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판단, 통제력 발휘에 관여하는 전전두엽과 정서를 담당하는 변연계 등 뇌영역의 기능 발휘를 저해 혹은 왜곡시킵니다. 이로 인하여 감정 조절 및 충동 조절에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 ||
+ | |||
+ | 우리 모두는 본능적인 여러 욕구를 가지고 있지만, 한편으로 적절한 판단에 따라 이러한 욕구를 통제하며 행동할 수 있게 하는 제어 장치를 가지고 있는데, 제어장치가 망가진 상태가 반복되면 위험하고 돌이키기 어려운 행동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약으로 인한 문제는 한 개인의 삶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많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기 위한 법적, 사회적 장치를 두고 있습니다((이덕종 교수, 건강in 2019. 11, https:// | ||
+ | |||
+ | ==== 라. 게임에서 마약류의 부작용 ==== | ||
+ | |||
+ | 폴아웃 시리즈에서도 Buffout, Psycho, Mentas를 남용하면 중독상태(Addiction)에 빠져서 디스어드밴티지를 얻게 된다. | ||
+ | |||
===== 종류 ===== | ===== 종류 ===== | ||
줄 24: | 줄 121: | ||
- 대마 | - 대마 | ||
- | <nspages -exclude: | + | |
+ | |||
+ | <nspages -exclude: |
소송실무/형사/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start.171765406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6/06 15:07 저자 이거니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