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전처분의_효력
보전처분의 효력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보전처분의_효력 [2023/04/13 17:11] – 만듦 이거니맨 | 보전처분의_효력 [2023/04/13 17:11] (현재) – 이거니맨 | ||
---|---|---|---|
줄 1: | 줄 1: | ||
<WRAP center box law 95%> | <WRAP center box law 95%> | ||
<wrap em> | <wrap em> | ||
- | 민사집행법 | + | 민사집행법 </ |
**제292조(집행개시의 요건)** ①가압류에 대한 재판이 있은 뒤에 채권자나 채무자의 승계가 이루어진 경우에 가압류의 재판을 집행하려면 집행문을 덧붙여야 한다. \\ | **제292조(집행개시의 요건)** ①가압류에 대한 재판이 있은 뒤에 채권자나 채무자의 승계가 이루어진 경우에 가압류의 재판을 집행하려면 집행문을 덧붙여야 한다. \\ | ||
②가압류에 대한 재판의 집행은 채권자에게 재판을 고지한 날부터 2주를 넘긴 때에는 하지 못한다. \\ | ②가압류에 대한 재판의 집행은 채권자에게 재판을 고지한 날부터 2주를 넘긴 때에는 하지 못한다. \\ | ||
줄 24: | 줄 24: | ||
<WRAP center box precedent 95%> | <WRAP center box precedent 95%> | ||
부작위를 명하는 가처분은 그 가처분재판이 채무자에게 선고 또는 송달됨으로써 그 효력이 발생하고 채무자가 그 명령위반행위를 한 때에 비로소 대체집행 또는 간접강제의 방법에 의하여 부작위 상태를 실현시킬 필요가 생기는 것이므로 위 가처분에는 집행기간에 관한 민사소송법 제708조 제2항이 준용되지 않으나 (후략) | 부작위를 명하는 가처분은 그 가처분재판이 채무자에게 선고 또는 송달됨으로써 그 효력이 발생하고 채무자가 그 명령위반행위를 한 때에 비로소 대체집행 또는 간접강제의 방법에 의하여 부작위 상태를 실현시킬 필요가 생기는 것이므로 위 가처분에는 집행기간에 관한 민사소송법 제708조 제2항이 준용되지 않으나 (후략) | ||
- | <wrap em> | + | <wrap em> |
대법원 1982. 7. 16., 자, [[https:// | 대법원 1982. 7. 16., 자, [[https:// | ||
</ | </ |
보전처분의_효력.168137346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4/13 17:11 저자 이거니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