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송실무:민사:주택임차권등기명령신청
주택임차권등기명령신청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소송실무:민사:주택임차권등기명령신청 [2023/10/12 16:25] – 등록면허세입력 이거니맨 | 소송실무:민사:주택임차권등기명령신청 [2023/11/07 18:09] (현재) – 이거니맨 | ||
---|---|---|---|
줄 1: | 줄 1: | ||
+ | {{: | ||
+ | |||
===== 필요한 서류 및 신청료 ===== | ===== 필요한 서류 및 신청료 ===== | ||
==== 1. 신청료 ==== | ==== 1. 신청료 ==== | ||
- | - 등기신청수수료 : 부동산 1건당 3,000원 | + | - [[소송실무: |
- 등록세 : 부동산 1건당 7, | - 등록세 : 부동산 1건당 7, | ||
- | - 인지대 : 2,000원(([[https:// | + | - 인지대 : 1,800원(([[https:// |
+ | - 송달료 : 31, | ||
+ | |||
+ | 2023년 기준 약 53, | ||
+ | |||
+ | 따라서 전세사기 임대인은 반드시 사형에 처해야 한다. | ||
==== 2. 필요한 서류 ==== | ==== 2. 필요한 서류 ==== | ||
줄 13: | 줄 21: | ||
(1) 계약서 : 임대차를 증명하기 위하여 당연히 필요하다 | (1) 계약서 : 임대차를 증명하기 위하여 당연히 필요하다 | ||
(2) 부동산등기부 : 해당물건의 등기부상 등록 여부를 증명한다. | (2) 부동산등기부 : 해당물건의 등기부상 등록 여부를 증명한다. | ||
- | (3) 건물등기사항 | + | |
- | + | <WRAP center round tip 95%> | |
+ | 선택사항으로 만약 부동산 등기부상 목적물의 일부분을 임차한 것이라면 해당 임차 점유부분을 나타낼 수 있는 도면이 필요하다. | ||
+ | 그런데 정부24로는 건축물대장만 발급받을 수 있을뿐 도면을 발급받을 수는 없다. 도면을 발급받으려면 세움터를 이용해야 | ||
+ | [[소송실무: | ||
+ | |||
+ | </ | ||
| | ||
=== 나.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갖춘 이후 연속적으로 할 경우 === | === 나.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갖춘 이후 연속적으로 할 경우 === | ||
줄 21: | 줄 35: | ||
(2) 확정일자 기재된 계약서 : 우선변제권을 갖추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 (2) 확정일자 기재된 계약서 : 우선변제권을 갖추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 ||
+ | <WRAP center round tip 90%> | ||
+ | 확정일자를 정확히 식별하기 어렵다면 법원에서는 [[소송실무: | ||
+ | </ | ||
+ | |||
+ | |||
+ | === 다. 기타 유의해야 할 사항 === | ||
+ | |||
+ | 임대인이 소장을 송달받지 않아서 임대인의 주민등록초본이 필요할 때가 있다. | ||
+ | |||
+ | 이럴때에는 법원에서 보정명령서를 발급해 준다. 그런데 보정명령서는 열람용이 아니라 ' | ||
+ | |||
+ | [[소송실무: | ||
===== 전자소송에서 위치 ===== | ===== 전자소송에서 위치 ===== | ||
줄 59: | 줄 85: | ||
==== 2. 당사자 목록 ==== | ==== 2. 당사자 목록 ==== | ||
- | 채권자와 채무자를 적어 준다. 크게 어려운 것은 없다. | + | 채권자와 채무자를 적어 준다. 크게 어려운 것은 없다. |
+ | |||
+ | 임차권등기명령은 공유자전원을 피신청인으로 하여야 한다. 따라서 부동산이 공유자의 소유라면 공유자전원을 당사자로 지정해야 한다. | ||
줄 88: | 줄 116: | ||
(6층 104.24㎡ 중 52.12㎡) | (6층 104.24㎡ 중 52.12㎡) | ||
5. 점유개시일자 | 5. 점유개시일자 | ||
- | 6. 확 정 일 자 : | + | 6. 확 정 일 자 : |
</ | </ | ||
+ | |||
+ | == (1) 주민등록일자 == | ||
사실 임차권등기만 구할 때에는 신청 취지에 점유개시일자와 확정일자는 필요하지 않다. | 사실 임차권등기만 구할 때에는 신청 취지에 점유개시일자와 확정일자는 필요하지 않다. | ||
- | 점유개시일자와 확정일자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3 제5항에 제2문 때문에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상실하였다면 굳이 적어줄 필요는 없다. | + | |
+ | 점유개시일자와 확정일자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3 제5항에 제2문 때문에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상실하였다면 굳이 적어줄 필요는 없다. 그런데 점유개시일과 확정일자는 이미 일어난 사실이므로 이를 고치진 않고 실무상으로는 주민등록일자를 ' | ||
<WRAP center box law 95%> | <WRAP center box law 95%> | ||
줄 100: | 줄 131: | ||
</ | </ | ||
+ | == (2) 임차범위 == | ||
+ | |||
+ | 등기상 구분된 전유부분 중에서도 사실상으로는 그 일부분만 임차한 경우에는 도면과 함께 임차범위를 적으로라고 한다. 이를테면 임차범위는 | ||
+ | |||
+ | <WRAP center round box 90%> | ||
+ | 4. 임차범위 : 별지목록기재 부동산 전유부분 중 도면표시 ㄱ, | ||
+ | 각 점을 순차로 연결한 선내부분 52.12㎡(601호 내 601호) | ||
+ | </ | ||
+ | |||
+ | 와 같은 방식으로 적는다. | ||
+ | 별지목록 기재 부동산을 적는 방법은, [[소송실무: | ||
+ | |||
+ | 도면은 [[소송실무: | ||
=== 나. 신청 이유 === | === 나. 신청 이유 === | ||
줄 168: | 줄 212: | ||
만약 등기에 나온 물건 전체가 아니라 일부분만 임차하였다면 ' | 만약 등기에 나온 물건 전체가 아니라 일부분만 임차하였다면 ' | ||
- | ===== 등록면허세 ===== | + | ===== 등록면허세와 등기신청수수료 |
- | 마침 이에 대하여 잘 써놓은 [[https:// | + | 등기를 할 때에는, 항상 지방세(등록면허세)와 등기소에 납부해야 |
+ | 따라서 이 둘을 납부해야 한다. | ||
+ | |||
+ | |||
+ | ==== 1. 지방세 : 등록면허세 ==== | ||
+ | |||
+ | === 가. 위택스에서 지방세 납부하기 === | ||
+ | |||
+ | == (1) 등록면허세 신고 == | ||
[[https:// | [[https:// | ||
줄 180: | 줄 232: | ||
과세정보에서 ' | 과세정보에서 ' | ||
- | 본인이 ' | + | <WRAP center round important 90%> |
+ | 과세정보의 등록원인 선택항목에는 ' | ||
+ | </ | ||
+ | . | ||
- | 이후 세액정보에선느 | + | 이후 세액정보에서는 |
{{: | {{: | ||
- | 이후 결제를 한 후, [납부결과]-> | + | == (2) 결제 및 확인 == |
+ | 이후 결제를 한 후, [납부결과]-> | ||
검색에 나온 목록의 전자납부번호를 클릭하면 납부확인서 화면으로 넘어가는데, | 검색에 나온 목록의 전자납부번호를 클릭하면 납부확인서 화면으로 넘어가는데, | ||
줄 193: | 줄 249: | ||
{{: | {{: | ||
- | 참고로, 납부확인서를 발급하면 나온느 | + | <WRAP center round important 90%> |
- | + | 참고로, 납부확인서를 발급하면 나오는 | |
- | 즉, 납부확인서에는 읍면동 항목이 끝에서 세번째에 나온느데, 실제 납세번호 상으로는 기관 다음에 두번째에 읍면동 코드가 나와야 한다. 납세번호와 확인해 보면, 읍면동 코드가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납부확인서상의 납세번호는 마치 실제 납세번호와는 다른것 처럼 보인다. | + | 즉, 납부확인서에는 읍면동 항목이 끝에서 세번째에 나오는데, 실제 납세번호 상으로는 기관 다음에 두번째에 읍면동 코드가 나와야 한다. 납세번호와 확인해 보면, 읍면동 코드가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납부확인서상의 납세번호는 마치 실제 납세번호와는 다른것 처럼 보인다. |
+ | </ | ||
+ | |||
{{: | {{: | ||
이를 모르면 전자소송에서 등록면허세의 납세번호를 입력할 때 큰 낭패를 겪을 수 있다. | 이를 모르면 전자소송에서 등록면허세의 납세번호를 입력할 때 큰 낭패를 겪을 수 있다. | ||
+ | |||
+ | === 2. 전자소송에서 등록면허세 입력 === | ||
+ | |||
+ | 다시 전자소송에서 등록면허세의 납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 ||
+ | |||
+ | 전자소송은 각 코드를 항목별로 뛰어쓰기 해줬는데 위택스에서는 납부번호를 보기 흉하게 붙여넣었으므로 헷갈릴 수 있다. | ||
+ | |||
+ | 따라서 위택스에서는 납부확인서를 발급받은 후, 각 코드항목별로 나뉘어 있는 것을 보고 입력을 하는게 좋다. | ||
+ | |||
+ | 물론, 읍면동 항목이 기관코드 바로 뒤에 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 ||
{{: | {{: | ||
+ | ==== 2. 등기신청 수수료 전자납부 ==== | ||
+ | |||
+ | === 가. 인터넷 등기소 === | ||
+ | |||
+ | 인터넷등기소에서 [전자납부] -> [부동산] -> [등기신청수수료전자납부]를 클릭한다. | ||
+ | |||
+ | 신규를 클릭하여 납부정보를 입력한다. | ||
+ | |||
+ | 등기소는 관할 법원에 대응하는 등기소일 것이다. 만약 서부지방법원에 신청한다면 서부지방법원 등기국이 된다. | ||
+ | |||
+ | 납부금액은 기타에 해당하므로 3, | ||
+ | |||
+ | 저장후 결제를 클릭하면 된다. | ||
+ | |||
+ | 이후 [결제완료된 납부정보] 탭을 클릭하여 오늘 작성한 신청서를 선택한후 " | ||
+ | |||
+ | 그러면 납부번호가 나온다. 납부번호는 위의 지방세(등록면허세)처럼 꼬은 것이 아니므로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 | ||
+ | |||
+ | 따라서 어려운 것이 없다. | ||
+ | |||
+ | |||
+ | === 나. 전자소송에 입력 === | ||
+ | |||
+ | 등기신청 수수료의 납부번호 입력은 어려운 것이 없다. 그냥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 | ||
+ | |||
+ | |||
+ | ===== 소명자료 입력 ===== | ||
+ | |||
+ | 첨부서류에는 반드시 등기부등본과, | ||
+ | |||
+ | 따라서 첨부서류에 위의 서류들을 집어넣고 나머지 서류만 소명자료에 넣으면 된다. | ||
+ | |||
+ | 그런데 통상 소송서류에서는 소명자료를 인용할 때가 있을 것이다(이를테면 ' | ||
+ | |||
+ | 따라서 임대차계약서는 소명자료 부분에도 중복으로 넣어주는 것이 좋다. | ||
+ | |||
+ | 그래야 서증의 번호가 붙어서 나오므로 인용하기 편하다. | ||
+ | |||
+ | |||
+ | 만약 등기된 건물의 일부분만 임차한 경우라면 그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도 첨부하여야 한다. | ||
+ | |||
+ | [[소송실무: | ||
+ | |||
+ | |||
+ | ===== 결정문 및 후속 절차 ===== | ||
+ | |||
+ | ==== 1. 결정문 ==== | ||
+ | |||
+ | |||
+ | 결정문은 다음과 같다. 클릭해서 확대해서 보자 | ||
+ | |||
+ | {{gallery> | ||
+ | |||
+ | |||
+ | ==== 2. 임차권등기까지 소요되는 기간 ==== | ||
+ | |||
+ | 약 2주 정도 걸린다. 따라서 이사를 갈 때에는 결정 이후 2주 정도 지난 이후 등기부에 임차권이 등기되었는지 확인을 한 후에 가야 한다. | ||
+ | [[https:// | ||
+ | 참고 : | ||
+ | |||
+ | ===== 변호사 비용 ===== | ||
+ | |||
+ |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주택임차권등기명령신청서도 작성하는 것이 결코 쉬운 것이 아니다. | ||
+ | |||
+ | 현직 변호사들도 상당한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 ||
+ | |||
+ | 통상 신청서의 경우에는 본소를 제기하는 것보다 품이 덜 들기 때문에 가격을 싸게 받긴 하는데, | ||
+ | |||
+ | 일반인들은 신청서 작성은 무조건 싸게 해달라고 요구하기 마련이다. | ||
+ | |||
+ | 따라서 굳이 싸게 해준다면 부가세 포함 약 330만원 정도 들 것이다. | ||
+ | |||
+ | 만약에 아는 변호사에게 부탁한다면 [[소송실무: | ||
+ | |||
+ | 물론 집행까지 같이 해주는 변호사는 없으므로 집행비용은 나중에 추가로 지급해야 한다. | ||
+ | |||
+ | 실제 집행을 해보면 알겠지만, | ||
+ | |||
+ | |||
+ | 만약 임대인이 지급명령에 이의를 신청해서 본소로 전환된다면 추가로 비용이 지출된다. | ||
+ | |||
+ | 본소를 하게 되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변호사들도 상당한 에너지를 써야 하기 때문에 본소에 대한 댓가를 받는다. | ||
+ | 통상 요새 민사 본안사건은 770만원이 최하단이다. | ||
+ | 따라서 만약 본소까지 진행된다면 임차권등기명령과 합하여 약 1, |
소송실무/민사/주택임차권등기명령신청.169709550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0/12 16:25 저자 이거니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