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서울양평고속도로
서울양평고속도로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서울양평고속도로 [2023/07/15 12:34] 이거니맨서울양평고속도로 [2023/07/15 12:37] (현재) 이거니맨
줄 1: 줄 1:
-서울양평고속도로는 하남교산지구와 남양주왕숙지구를 억지로 시나리오에 넣어도 B/C값이 0.87밖에 안됩니다. 이것을 시나리오1이라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기 전에, [[https://pimac.kdi.re.kr/study/study_view.jsp?pub_no=17156&pageNo=5&classcd=F1|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 원문을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 
 +위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를 클릭하시면 원문을 보실 수 있으십니다.  
 + 
 + 
 +서울양평고속도로는 하남교산지구와 남양주왕숙지구를 억지로 시나리오에 넣어도 B/C값이 0.82밖에 안됩니다. 이것을 시나리오1이라 합니다. 
 만약 두 신도시 수요가 없다고 가정하면 B/C 값이 0.67 밖에 안됩니다. 이것을 시나리오2라 합니다.  만약 두 신도시 수요가 없다고 가정하면 B/C 값이 0.67 밖에 안됩니다. 이것을 시나리오2라 합니다. 
  
  
-1. 상사창 IC +==== 1. 상사창 IC ====
  
 양평고속도로의 시점부인 서울근처입니다. 양평고속도로의 B/C값이 워낙 낮기 때문에 하남교산과 남양주 왕숙을 필연적으로 고려해야 하는데, 서울 부근에서 양평고속도로를 이용하게 하는 나들목이 상사창 IC입니다. 양평고속도로의 시점부인 서울근처입니다. 양평고속도로의 B/C값이 워낙 낮기 때문에 하남교산과 남양주 왕숙을 필연적으로 고려해야 하는데, 서울 부근에서 양평고속도로를 이용하게 하는 나들목이 상사창 IC입니다.
줄 15: 줄 21:
  
  
-2. 기존안의 종점인 양평 JCT를 중촌교로 설정하는 방법+==== 2. 기존안의 종점인 양평 JCT를 중촌교로 설정하는 방법 ==== 
  
 위의 보고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기존안에서는 양평 JCT 설치가 매우 어렵습니다.  위의 보고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기존안에서는 양평 JCT 설치가 매우 어렵습니다. 
줄 23: 줄 30:
  
  
-3. 공사비가 과소추정되었다고 우려합니다.+==== 3. 공사비가 과소추정되었다고 우려합니다. ==== 
  
 예타 보고서는 제129쪽에서 공사비가 과소추정되었다고 우려합니다.  예타 보고서는 제129쪽에서 공사비가 과소추정되었다고 우려합니다. 
줄 32: 줄 40:
  
  
-4. 각 공종별 단가 +==== 4. 각 공종별 단가 ==== 
 + 
  
 다음은 각 공종별 단가입니다. 이 중에서 토공은 '흙쌓기, 흙막기' 등 어느 공종에나 들어가는 공사비이므로 토공 공사비는 기존 공사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특, 터널 공사를 한다면 토공에다가 터널공사비가 추가로 들어간다는 개념으로 보면 됩니다.  다음은 각 공종별 단가입니다. 이 중에서 토공은 '흙쌓기, 흙막기' 등 어느 공종에나 들어가는 공사비이므로 토공 공사비는 기존 공사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특, 터널 공사를 한다면 토공에다가 터널공사비가 추가로 들어간다는 개념으로 보면 됩니다. 
줄 39: 줄 48:
  
  
-5. 기존안의 문제점+==== 5. 기존안의 문제점 ==== 
  
  
줄 55: 줄 65:
  
  
-6. 총 사업비의 추정+==== 6. 총 사업비의 추정 ==== 
  
 러프하게 더불어민주당이 밀어붙인 기존안과 터널과 교량을 최소화하는 대안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러프하게 더불어민주당이 밀어붙인 기존안과 터널과 교량을 최소화하는 대안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줄 73: 줄 84:
  
  
-7. B/C 값+==== 7. B/C 값 ==== 
  
  
서울양평고속도로.168939205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7/15 12:34 저자 이거니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