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목차
도쿠위키의 css를 튜닝하여 보기 좋은 나만의 위키를 만들어 보자
위키 문서 본문 설정하기
1. 위치
(root)/lib/tpl/[현재템플릿]/css/basic.less
예) 만약 현재템플릿이 dokuwiki 개인 템플릿이면,
(root)/lib/tpl/dokuwiki/css/basic.less
가 된다.
2. 꾸미기
가. 바디
기본 바탕체는 16px 크기에 줄 간격을 200%로 하였다.
body { color: @ini_text; background: @ini_background_site url(images/page-gradient.png) top left repeat-x; margin: 0; padding: 0; } body { font: normal 16px Arial, sans-serif; /* default font size: 100% => 16px; 93.75% => 15px; 87.5% => 14px; 81.25% => 13px; 75% => 12px */ -webkit-text-size-adjust: 100%; line-height: 200%; }
나. 헤딩
위키 문서 본문의 헤딩은 다음과 같이 하여 박스형에다가 그림자를 주는 방식으로 꾸몄다.
h2 { font-size: 1.6em; background: #2B6695; border-radius: 6px 6px 6px 6px; box-shadow: 0 0 0 1px #5F5A4B, 1px 1px 6px 1px rgba(10, 10, 0, 0.5); color: #FFFFFF; font-weight: bold; height: 25px; line-height: 25px; margin: 18px 0 !important; padding: 8px 0 5px 5px; text-shadow: 2px 2px 3px #222222; } h3 { font-size: 1.4em; background: #2B6600; border-radius: 6px 6px 6px 6px; box-shadow: 0 0 0 1px #5F5A4B, 1px 1px 6px 1px rgba(10, 10, 0, 0.5); color: #FFFFFF; font-weight: bold; height: 24px; line-height: 23px; margin: 12px 12px 8px 12px !important; padding: 5px 0 5px 10px; text-shadow: 2px 2px 3px #222222; } h4 { font-size: 1.2em; background: #5B9600; border-radius: 6px 6px 6px 6px; box-shadow: 0 0 0 1px #5F5A4B, 1px 1px 6px 1px rgba(10, 10, 0, 0.5); color: #FFFFFF; font-weight: bold; height: 20px; line-height: 19px; margin: 12px 16px 8px 18px !important; padding: 5px 0 5px 10px; text-shadow: 2px 2px 3px #222222; }
위키 페이지 꾸미기
1. 위치
(root)/lib/tpl/[현재템플릿]/css/content.less
2. 꾸미기
아래처럼 헤딩부분만 바꿔 보았다.
.dokuwiki .page 부분이 위키 페이지에 대한 설정이다.
.dokuwiki .page h1 {margin-left: 0; font-size: 2em; color: darkgreen; margin: 0 0 0.666em; border-color: darkgreen; border-bottom: 1rem solid;} .dokuwiki .page h2 {margin-left: .666em;} .dokuwiki .page h3 {margin-left: 1.776em;}
폰트 변경하기
1. 폰트 업로드 위치
각 템플릿별로 템플릿의 루트폴더에 올리면 가장 좋다.
(root)/lib/tpl/[현재템플릿]
2. 수정할 파일 위치
각 템플릿의 css폴더에서 basic.less 파일을 수정한다.
(root)/lib/tpl/[현재템플릿]/css/basic.less
3. 폰트 페이스 설정하기
다음과 같이 폰트 페이스를 설정했다.
@font-face { font-family: 'RIDIBatang'; src: url('RIDIBatang.otf') format('opentype');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font-face { font-family: 'Jalpool'; src: url('잘풀리는오늘 MEDIUM.TTF') format('truetype');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font-face { font-family: 'JalNan'; src: url('JALNAN.TTF') format('truetype');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4. 각 요소마다 폰트 설정하기
각 수정할 요소마다 폰트패밀리를 설정하면 된다. 이를테면 헤딩에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
h2 { font-family: 'JalNan'; font-size: 1.6em; < 후략.... > }
5. 기존 설명에 대한 의문점
기존의 블로그들을 보면, conf 폴더에 'userstyle.css'를 생성해서 폰트를 설정하라고 안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런 블로그가 있으며, 대부분의 한글 문서들은 이 블로그를 따라하고 있다. dokuwiki에서 폰트를 바꿀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하면 굳이 템플릿을 만든 이유가 사라져 버린다. 즉, 템플릿의 정합성이 무의미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방법을 난 좋아하지 않는다. 템플릿 내에서 고치는게 타당할 것이다.
로고 이미지와 로고문자 모양 수정 하기
1. css 위치
design.less에 있다. 따라서
(root)/libe/tpl/(내템플릿)/css/design.less
이다.
2. css 수정하기
header라고 적혀 있는 주석문 아래에 logo 클래스가 있다. 이를 수정하면 된다.
다음과 같이 수정하였다. 각자 알아서 수정해 보자
.logo { margin: 18px 0 !important; font-size: 2.2em; font-weight: normal; line-height: 2; height:30px; font-family: 'GoryeongStrawberryWeb'; img { float: left; margin-right: .5em; } span { display: block; padding-bottom: 10px; } a { text-decoration: none; color: #00855b; text-shadow: 2px 2px 3px #1f95ad; background-color: inherit; } }
3. logo를 출력하는 파일
tplheader.php파일이다. 이는 사용하는 템플릿의 루트 파일에 있다.
특별히 건드릴 것은 없으나, 코드를 보면 헤딩1, 즉 h1 태그를 사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문장 내에서의 h1태그와 로고 모양을 달리하고 싶을 때 상당히 짜증이 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수정해 주자.
<div class="logo"><?php // get logo either out of the template images folder or data/media folder $logoSize = array(); $logo = tpl_getMediaFile(array(':wiki:logo.png', ':logo.png', 'images/logo.png'), false, $logoSize); // display logo and wiki title in a link to the home page tpl_link( wl(), '<img src="'.$logo.'" '.$logoSize[3].' alt="" /> <span>'.$conf['title'].'</span>', 'accesskey="h" title="' . tpl_getLang('home') . ' [h]"' ); ?></div>
템플릿 파일
참고 하기
페이지 제목을 본문에 삽입하기도 읽어보면 대충 도쿠위키의 구조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