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소송실무:형사:정신건강복지법:start
start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개요

정식명칭은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다. 이 법은 정신질환의 예방ㆍ치료, 정신질환자의 재활ㆍ복지ㆍ권리보장과 정신건강 친화적인 환경 조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제1조) 법이다.

보호의무자

1. 보호의무자가 될 수 있는 사람

통상 민법에 따른 부양의무자가 된다.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39조(보호의무자) ① 「민법」에 따른 후견인 또는 부양의무자는 정신질환자의 보호의무자가 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보호의무자가 될 수 없다.
1. 피성년후견인 및 피한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사람
3. 해당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한 소송이 계속 중인 사람 또는 소송한 사실이 있었던 사람과 그 배우자
4. 미성년자
5. 행방불명자
6. 그 밖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부득이한 사유로 보호의무자로서의 의무를 이행할 수 없는 사람

② 제1항에 따른 보호의무자 사이의 보호의무의 순위는 후견인ㆍ부양의무자의 순위에 따르며 부양의무자가 2명 이상인 경우에는 「민법」 제976조에 따른다.

2. 보호의무자의 의무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40조(보호의무자의 의무) ① 보호의무자는 보호하고 있는 정신질환자가 적절한 치료 및 요양과 사회적응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② 보호의무자는 보호하고 있는 정신질환자가 정신의료기관 또는 정신요양시설(이하 “정신의료기관등”이라 한다)에 입원등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정신질환자 본인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여야 하며,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가 정신의료기관등에서 정신질환자의 퇴원등이 가능하다고 진단할 경우에는 퇴원등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③ 보호의무자는 보호하고 있는 정신질환자가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해치지 아니하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정신질환자의 재산상의 이익 등 권리보호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④ 보호의무자는 보호하고 있는 정신질환자를 유기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신 병원 입원

자의입원 보호입원 행정입원

응급입원

관련된 기사

다음 국민일보 기사는 이동근 변호사가 실제로 수행했던 끔찍한 보호입원을 토대로 작성된 기사이다.

<보호입원이란 이름의 불법감금> 시리즈 기사

① 누구나 갇힐 수 있다

    • 보호자 2명 합치 땐 입원시킬 수 있어
    • 전문가 “악용 막을 대책 없는 게 문제”
    • 복지부, 제도 시행 예외 규칙 둬
    • 법 위반 처벌할 규정 불분명

② 가두는 사람

[단독] “병원비 빼드려요” 강제입원 종용하는 사설구급대

이 이름공간의 문서들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소송실무/형사/정신건강복지법/start.172023756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7/06 12:46 저자 이거니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