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소송실무:민사:주택임차권등기명령신청
주택임차권등기명령신청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월별집합건물임차권등기현황

필요한 서류 및 신청료

1. 신청료

2. 필요한 서류

가. 기본

나.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갖춘 이후 연속적으로 할 경우

다. 기타 유의해야 할 사항

전자소송에서 위치

사건정보 입력

1. 사건 기본정보

가. 관할

나. 집행대상 목적물 수

2. 당사자 목록

3. 신청취지 및 이유

가. 신청 취지

(1) 주민등록일자

사실 임차권등기만 구할 때에는 신청 취지에 점유개시일자와 확정일자는 필요하지 않다.

점유개시일자와 확정일자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3 제5항에 제2문 때문에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상실하였다면 굳이 적어줄 필요는 없다. 그런데 점유개시일과 확정일자는 이미 일어난 사실이므로 이를 고치진 않고 실무상으로는 주민등록일자를 '없음'으로 적는다. 왜 그런지는 잘 알 수 없으나 대항력을 상실하면 점유개시일과 확정일자는 그대로 하되 주민등록일자를 '없음'으로 적으라고 한다. 즉, 전출로 인하여 대항력을 상실하면 나머지는 그대로 하되, 3번 항목인 주민등록일자를 '없음'으로 적으면 된다.

주택임대차보호법
⑤ 임차인은 임차권등기명령의 집행에 따른 임차권등기를 마치면 제3조제1항ㆍ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대항력과 제3조의2제2항에 따른 우선변제권을 취득한다. 다만, 임차인이 임차권등기 이전에 이미 대항력이나 우선변제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그 대항력이나 우선변제권은 그대로 유지되며, 임차권등기 이후에는 제3조제1항ㆍ제2항 또는 제3항의 대항요건을 상실하더라도 이미 취득한 대항력이나 우선변제권을 상실하지 아니한다.

(2) 임차범위

등기상 구분된 전유부분 중에서도 사실상으로는 그 일부분만 임차한 경우에는 도면과 함께 임차범위를 적으로라고 한다. 이를테면 임차범위는

4. 임차범위 : 별지목록기재 부동산 전유부분 중 도면표시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ㄱ의 각 점을 순차로 연결한 선내부분 52.12㎡(601호 내 601호)

와 같은 방식으로 적는다. 별지목록 기재 부동산을 적는 방법은, 부동산의 표시를 참조하라

나. 신청 이유

(1) 기본

신청이유에는 임대차계약의 체결 사실 및 계약내용과 그 계약이 종료한 원인 사실을 기재한다.

(2) 대항력을 취득한 경우

임차인이 신청 당시에 이미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대항력을 취득한 경우에는 임차주택을 점유하기 시작한 날과 주민등록을 마친 날(제3조제2항 또는 제3항의 규정에 따른 대항력을 취득한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장 또는 해당 법인이 선정한 입주자 또는 직원이 그 주택을 점유하기 시작한 날과 주민등록을 마친 날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기재한다.

(3) 우선변제권을 갖춘 경우

제3조의2제2항의 규정에 의한 우선변제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임차주택을 점유하기 시작한 날, 주민등록을 마친 날과 임대차계약증서상의 확정일자를 받은 날을,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3조제1항에 따른 대항력을 취득한 경우에는 임차건물을 점유하기 시작한 날과 사업자등록을 신청한 날을, 제5조제2항에 따른 우선변제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임차건물을 점유하기 시작한 날, 사업자등록을 신청한 날과 임대차계약서상의 확정일자를 받은 날을 각 기재하여야 한다4).

(4) 양식

신청이유 샘플은 다음 한글파일과 같다. 전자소송의 입력폼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나 통상 신청이유에는 그림과 표가 들어갈 가능성이 높으므로 미리 워드프로세서로 만든 후에 첨부하는 방식이 편하다.

주택임차권등기명령신청서 신청이유 양식

신청이유의 맨 뒤에도 부동산표시를 하였지만 간혹 어떤 법원 직원은 부동산표시 목록을 따로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따로 제출하는 것도 좋다.

부동산 표시 양식

4. 목적물 기본 정보

가.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

(1) 등기부 전자발급하기

임차권등기를 할 해당 부동산 목적물의 등기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요새는 등기부를 프린트하지 않고 전자제출용으로 발급한다.

대법원인터넷등기소(iros.go.kr)에서 부동산 발급하기 중 [전자 발급하기(전송)]을 선택한다.

발급구분은 '집행 등 전자소송용'으로를 선택한다.

부동산등기 발급구분 선택 전자소송용

이후 주소를 입력한 후 결제를 하여 부동산등기부를 발급한다.

결제를 완료하면 '미발급 보기' 화면이 나온다. 여기에서 '발급'을 누른다.

발급 누르기 화면

(2) 전자소송용 아이디 입력

이후에는 전자소송용 아이디를 입력한다. 주택임차권등기신청을 하였던 전자소송 아이디를 입력하자. 일반인은 통상 전자소송 아이디가 하나이지만 변호사는 변호사 업무를 위한 변호사용 아이디와 본인의 송사를 해결하기 위한 본인용 아이디가 하나 더 있으므로 2개가 존재한다. 따라서 헷갈리지 말고 잘 선택하자.

이후 인터넷 등기소에서 [전자발급(전송)] → [발급내역 보기]에 들어가면 내가 전자소송용으로 발급한 등기부의 발급번호가 나타난다.

발급내역 보기

나. 전자소송

등록면허세와 등기신청수수료

1. 지방세 : 등록면허세

가. 위택스에서 지방세 납부하기

(1) 등록면허세 신고

위택스에 들어가서 등록면허세(등록분)을 클릭한다.

간편인증으로 인증하여 로그인을 하자

다른 것은 그냥 입력하면 되나 과세정보 부분은 주의를 요한다.

과세정보에서 '등록원인'은 '기타'를 선택하고 세부 원인으로는 '임차권등기명령'을 적는다.

과세정보의 등록원인 선택항목에는 '임차권설정' 항목이 있다. 그러나 '임차권설정'은 신청인이 임의로 임차권을 등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임차권 설정에 대해서는 임차금액에 따라서 0.2%의 세율이 붙으므로 이를 선택하면 안된다. 따라서 '기타'를 선택해야 한다

.

이후 세액정보에서는 과세표준을 6,000원으로 설정하면 지방교육세 20프로 가산되어 총 납부세액이 7,200원이 된다.

등록면허세 과세정보

(2) 결제 및 확인

이후 결제를 한 후, [납부결과]→[본인납부확인서 출력]에서 관할자치단체를 정확히 선택하고 세목구분을 “등록면허세(등록)“으로 선택하여 검색을 누르면 방금 납부한 등록면허세가 검색결과에 나온다.

검색에 나온 목록의 전자납부번호를 클릭하면 납부확인서 화면으로 넘어가는데, 여기에서 납세번호가 바로 전자소송에서 입력할 '등록세 납부번호'이다. 전자납부번호가 아님을 유의하자.

납세번호

참고로, 납부확인서를 발급하면 나오는 납부확인서에는 납세번호가 뒤섞여 있음에 유의하자, 즉, 납부확인서에는 읍면동 항목이 끝에서 세번째에 나오는데, 실제 납세번호 상으로는 기관 다음에 두번째에 읍면동 코드가 나와야 한다. 납세번호와 확인해 보면, 읍면동 코드가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납부확인서상의 납세번호는 마치 실제 납세번호와는 다른것 처럼 보인다.

납부확인서 납세번호

이를 모르면 전자소송에서 등록면허세의 납세번호를 입력할 때 큰 낭패를 겪을 수 있다.

2. 전자소송에서 등록면허세 입력

2. 등기신청 수수료 전자납부

가. 인터넷 등기소

나. 전자소송에 입력

소명자료 입력

결정문 및 후속 절차

1. 결정문

2. 임차권등기까지 소요되는 기간

변호사 비용

1)
등기사항증명서 둥 수수료규칙 제18번, http://www.iros.go.kr/pos1/jsp/cms6/popup/PCMS6PopupJ.jsp?popupid=1
2)
임차권등기명령 절차에 관한 규칙 제2조 제3항에 따라 2,000원인데 전자소송 10% 감액되어 1,800원이다.
3)
상대방이 1명있을 때에도 송달료 31,200원이 든다. 이렇듯 소송은 돈이 많이 드는 일이다.
5)
별지 목록 기재 도면 중 ㄱ, ㄴ, ㄷ, ㄹ, ㄱ 부분을 순차로 연결한 선내 부분 00평방미터 (제601호 중 제1호)라는 식으로 쓴다.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소송실무/민사/주택임차권등기명령신청.169761210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0/18 15:55 저자 이거니맨